얼마전에 경주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난 이후로 지진에 대해 많은 궁금증들이 생겨서.. 첫 주제는 지진으로 선택했다. 지진에 대해서는 초중고에 골고루 내용 분포되어 있다. 화산과 지진이 묶여있는 것은 화산 분출등이 지진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지진대와 화산대가 거의 일치하며 환태평양 조산대와 같이 조산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곳에서 화산과 지진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1. 최근 지진을 조사해본다. - 지진은 지구상의 여러곳에서 계속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난다. TIP. 화산대와 지진대 그림을 놓고 같이 보자. 2.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이 무엇인가? - 지진은 지층이 끊어지거나(단층) 휘어지면서(습곡) 일어난다. TIP. 층층이 다른 색으로 쌓은 고무찰흙을 지층으로 두..
이런 글을 쓰려고 하는 목적은 사실 하나다. 애들 가르치기 참 힘든 세상이다. 그래도 지금 상태면 나중에 초등 과학 정도는 검색 사이트 뒤져가며 애한테 설명해줄 수 있을 듯 하다. 그런데 그냥 그때 그때 물어보는거 설명하는 것보다 교과연계 과정이 머릿속에 있으면 아이한테 던지는 질문도 좀 더 깊이 있어 질거 같기도 하고.. 아직은 과학에 대한 이해가 잘 되는 편이니.. 이해될 때 정리 좀 해두자는 게 이 블로그의 목적이다. 대체적으로 초등 교과는 현상적인 걸 많이 보여주는 편이라면 중등은 초등보다 조금 더 심화이고 고등은 중등보다 좀 더 심화의 단계로 가서 현상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근데 애들이 이거 공부하면서 이게 어디에 필요한지 우리 주위에 어디에 쓰이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
요즘 학생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 중 하나가 참고서나 문제집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초등때는 전과 하나로 전과목 커버했고 중등때는 주로 교과서와 수업시간에 한 필기 고등때는 부교재도 좀 있었던 것 같은데 요즘 서점에 가보면 출판사도 다양하고 그리고 참고서에 문제집, 시험대비 교재까지 종류가 완전 많다. 과학은 국영수에 비하면 적긴 하지만 나름 종류가 많다. 대부분 학년별로 교과서 순서대로 된 교재가 대부분인데 우연히 발견한 책이 매스티안에서 만든 줄기과학 시리즈이다. 중등교과를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으로 나누어 4권으로 정리해 둔 교재인데 문제는 그닥 많지 않지만 내용 정리가 맘에 든다. 물론 이 내용을 완벽 습득하려면 별도의 교재가 더 필요하긴 하겠지만 .. 이번에 추가로 발..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아과학
- 홈케어
- 유아실험과학
- 우리북스
- 유아과학실험
- 라이시스
- 지진
- 유아과학놀이
- 오나그린
- 지구과학
- 단위
- BMW M5
- 원이&윤이
- P파
- 친구와함께
- 지예가
- 엄마표실험과학
- 엔진오버홀
- 자가정비
- 6세과학
- 드라이오일
- 엄마표과학
- 우리과학
- 탄산팩
- S파
- 지진파
- 단위변환
- 클래식카
- egf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